[이슈+]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검토…엿새 '황금연휴' 생길까<br /><br /><br />추석 명절을 앞두고 정부가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관광업계에선 벌써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추석 연휴가 9월 28일 목요일부터 시작되는데요.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다면 최대 며칠간의 휴일을 얻게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임시공휴일을 한다면 국민의 휴식권 보장도 의미가 있습니다만, 가장 큰 목적은 내수 진작과 소비 활성화가 아닐까 싶은데요. 과거 임시 공휴일을 지정했을 당시에도 경제적 효과가 있었나요?<br /><br />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, 총 연휴가 6일이나 되다 보니 역시나 가장 반기는 건 관광업계입니다. 벌써 항공권 예약률도 높아지고 있다고 하던데요?<br /><br /> 그런데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는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, 휴무가 늘어나 조업일수가 줄어들면 현장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 경제계에서 엇갈린 반응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여러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 추가 조치를 내놓을지도 관심입니다. 과거 임시공휴일이 지정됐을 경우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와 주요 관광지 무료 개방 등도 함께 시행됐었는데요. 이번에도 그런 추가 조치들이 이뤄질까요?<br /><br /> 이번 여름 휴가철 특히 논란이 됐던 게 바로 휴가지 고물가입니다.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선 이런 문제도 해결이 돼야 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추석을 앞두고 물가 상승률이 다시 3%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편 한국은행이 국내외에 산재한 경제적 어려움을 열거하면서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5월과 동일한 1.4%로 유지했습니다. 다소 낙관적인 전망이 아니냔 평가도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무엇보다 대외적으로 중국의 심각한 경기 침체와 에너지 곡물 가격 상승세 등은 우려스러운 대목으로 꼽히는데요. 현 상황에서 넘어야 할 산은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특히 6년 5개월 만에 중국인 방한 단체관광이 허용된 것도 국내 소비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.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